요정, 대상의 MR에 따른 캔슬레이션 성공 확률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9 조회
- 목록
본문
요정, 대상의 MR에 따른 캔슬레이션 성공 확률
|
▲ 요정의 MR에 따른 캔슬레이션 성공 확률은 마법사에 비해 얼마나 다를 것인가? |
캔슬레이션과 같은 확률 마법의 성공 확률은 캐릭터의 INT 스탯에 의해 결정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INT 25를 세팅한 요정과 마법사가 동일한 대상에게 캔슬레이션을 시전했을 때의 성공 확률도 같을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우선 대답은 잘 알려진 것처럼 '아니오'다. 동일한 세팅이라면 요정의 캔슬레이션 성공 확률이 낮게 나오는 것이 사실이다. 베이스 스탯 보너스로 인해 INT 18인 요정이 마법사보다 마법 명중을 1 높게 받는다는 사실을 생각해보면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물론 요정에게는 이레이즈 매직이라는 강력한 무기가 있어서 이런 불리함을 극복할 수 있기는 하다.
이에 이번 실험실에서는 대상의 MR이 50~100%일 때 요정의 캔슬레이션 성공 확률이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고, 마법사의 성공 확률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실험 개요
- 실험의 목적
- 대상의 MR(50, 60, 70, 80, 90, 100)에 따라 요정의 캔슬레이션의 성공 확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한다. - 실험의 조건
- 캔슬레이션을 사용할 술자는 레벨 70의 요정(베이스 스탯 INT 18)로 한다.
- 레벨업에 의해 주어지는 스탯 포인트를 이용해 INT 25를 세팅한다(확률 마법의 성공률 최대).
- 실험 대상(샌드백)은 레벨 70의 기사로, AC -70, MR 50, 60, 70, 80, 90, 100으로 세팅한다. - 실험 방법
① 대상의 MR을 50으로 세팅한다.
② 대상에게 캔슬레이션을 사용한다.
③ 캔슬레이션의 성공 여부(O: 성공, X: 실패)를 기록한다.
④ ②~③의 과정을 200번 반복한다.
⑤ 대상의 MR을 60, 70, 80, 90, 100으로 변경한 후 ②~④의 과정을 반복한다.
MR 50~100%에 대한 요정의 캔슬레이션의 성공 확률
![]() |
▲ 대인전에서 막강한 위력을 발휘하는 요정의 이레이즈 매직, 캔슬레이션 콤보 |
대인전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마법인 캔슬레이션. 요정의 경우 주로 이레이즈 매직을 이용해 대상의 MR을 1/4로 낮춰놓고, 캔슬레이션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즉, MR 100%인 대상이라도 이레이즈 매직으로 MR 25%로 만들어놓은 상태에서 캔슬레이션을 비롯한 각종 디버프를 사용해 전투를 진행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요정이 일명 생캔(캔슬레이션만으로 상대방을 무력화하는 것)에 성공할 확률은 얼마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다음은 대상의 MR이 50, 60, 70, 80, 90, 100일 때 요정의 캔슬레이션의 성공 확률이다.
① MR 50% - 캔슬레이션의 성공 확률 62%

② MR 60% - 캔슬레이션의 성공 확률 53%
③ MR 70% - 캔슬레이션의 성공 확률 42%

④ MR 80% - 캔슬레이션의 성공 확률 32%

⑤ MR 90% - 캔슬레이션의 성공 확률 23%

⑥ MR 100% - 캔슬레이션의 성공 확률 13%
![]() |
실험 결과
대상의 MR | ||
62% | 50% | 95% |
53% | 60% | 86% |
42% | 70% | 76% |
32% | 80% | 63% |
23% | 90% | 54% |
13% | 100% | 46% |
실험 결과 대상의 MR에 따른 요정의 캔슬레이션의 성공 확률은 마법사에 비해 약 30% 정도 낮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캐릭터의 스탯보다는 클래스의 특성에 의한 차이로, 마법사가 다른 클래스에 비해 마법적인 요소에 많은 보너스를 가진다고 이해하면 된다(SP는 공격 마법의 대미지에만 영향을 줄뿐 확률 마법의 성공 확률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외에 MR과 캔슬레이션의 성공 확률이 1:1 비율로 반비례하는 것은 마법사의 경우와 동일했다.
참고로 MR 100%인 대상에게 요정이 이레이즈 매직에 성공한 후 캔슬레이션을 사용하면 MR 25%인 대상에게 캔슬레이션을 시전하는 것과 동일한 상황이기 때문에 약 90% 정도의 성공 확률을 보여주게 된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